본문으로 바로가기

박 전 대통령 위안부합의 왜 서둘렀나…남은 의문들

사회

연합뉴스TV 박 전 대통령 위안부합의 왜 서둘렀나…남은 의문들
  • 송고시간 2017-12-28 21:42:30
박 전 대통령 위안부합의 왜 서둘렀나…남은 의문들

[뉴스리뷰]

[앵커]

위안부 합의 TF의 보고서 발표 이후에도 일부 해소되지 않은 의문들이 남아있는데요.

취임 초기 대일 강경책을 구사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갑자기 위안부 합의를 서둘렀던 이유가 대표적입니다.

이봉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초기 위안부 문제의 진전이 없이는 한일 정상회담도 없다며 대일 강경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위안부 문제가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근혜 / 전 대통령> "2차 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합니다."

위안부 문제에 신중했던 박 전 대통령은 2015년 11월 한일 정상회담 이후 돌연 연내 타결에 강한 의욕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실제 타결된 것은 정상회담부터 한 달 뒤로, 엉터리 합의를 졸속으로 처리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위안부 합의 TF 결과 보고서는 박 전 대통령이 어떤 이유로 갑자기 태도를 바꿔 합의를 서둘렀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중국에 맞선 한미일 공조가 시급했던 미국의 압박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위안부 합의 석달 전 박 전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해 '망루 외교'를 통해 친중국 행보를 보인 점이 동맹인 미국이 압박에 나서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위안부 합의에서 가장 뼈아픈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이 협상 도중 의미가 바뀌었는데도 정부가 고수한 배경 역시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특히 당시 정부는 협상 과정에서 우리쪽 의도를 명확하게 하는 표현을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다고 보고서를 밝히고 있습니다.

또 일본 정부가 기금으로 내놓은 10억엔이 객관적 산정 기준 없이 정해진 것으로 드러나 향후 추가로 규명해야할 숙제로 남게됐습니다.

연합뉴스TV 이봉석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