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역대 대북특사 누가 있었나…과거 사례 주목

사회

연합뉴스TV 역대 대북특사 누가 있었나…과거 사례 주목
  • 송고시간 2018-03-02 21:08:39
역대 대북특사 누가 있었나…과거 사례 주목

[뉴스리뷰]

[앵커]

역대 정부는 한반도 정세가 경색될 때마다 대북 밀사나 특사를 파견하고 남북관계를 관리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남북정상회담과 같은 고도의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는데요.

역대 대북특사 사례를 김혜영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기자]

남북간 특사 교환의 시작은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2년 5월 2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은 사실상 '밀사'로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 면담했고, 이는 7·4 남북공동성명 발표로 이어졌습니다.

<대한뉴스 / 1972년 7월 8일>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 북한의 당 조직지도부장 김영주가 같이 서명한 이 공동성명은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평화통일 원칙과…"

노태우 정부 시절엔 박철언 대통령 정책보좌관이 여러차례 방북해 북측과 깊은 논의를 하며 '7.7선언' 마련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김영삼 정부 시절에는 1994년 3월까지 특사교환을 위한 실무접촉이 이어졌지만, 북측 대표의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무산됐습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평양 방문 이후 극적으로 합의됐던 남북 정상회담도 북한 김일성 주석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없던 일이 됐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0년 3월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을 중국 상하이에서 이뤄진 남북접촉에 특사로 보냈습니다.

두 달 뒤 임동원 국정원장을 평양에 보냈고, 그로부터 한 달 뒤인 2000년 6월 역사적인 첫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습니다.

<김대중 / 전 대통령> "우리 두 사람은 공동성명에 대해서 완전히 합의를 봤습니다. 여러분 축하해 주십시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5년 6월에는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이 북핵문제를 풀기 위한 특사로 나섰습니다.

정 장관과 김정일 위원장의 면담은 향후 북한의 6자회담 복귀와 9·19 공동성명 채택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가장 최근인 2007년 특사 자격으로 방북했던 김만복 전 국정원장도 2차 남북정상회담의 길을 닦는데 기여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혜영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