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태일 이후 그녀들이 있었다…'시다' 이야기

문화·연예

연합뉴스TV 전태일 이후 그녀들이 있었다…'시다' 이야기
  • 송고시간 2022-01-08 10:22:34
전태일 이후 그녀들이 있었다…'시다' 이야기

[앵커]

1970년대 평화시장에는 전태일 열사 말고도 '시다' 또는 '공순이'로 불린 여성 노동자들이 있었습니다.

이제 어머니, 할머니가 된 그녀들의 빛나지만 아픈 청춘을 소환한 다큐멘터리 영화가 개봉합니다.

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난한 형편 때문에 "여자는 공부하면 안 된다"는 아버지 때문에, 열세 살 어린 소녀들은 학교가 아닌 공장에서 세상을 먼저 배웠습니다.

재단사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햇빛 한 줌 들지 않는 다락에서 하루 15시간을 일했지만, 생활은 좀처럼 펴지지 않았습니다.

<임미경 / 과거 청계시장 피복노동자> "선풍기를 아침에 틀면 두시간쯤 있으면 날개가 안보여요, 먼지가 다 껴서…"

<신순애 / 과거 청계시장 피복노동자> "잠바 속주머니를 공장장 몰래 생리대로 대신하면 사타구니가 아파서, 내가 이런 게 있어서 ('전태일 평전'을 읽고도) 눈물이 안났구나."

노동조합이 운영하는 노동교실은 배움의 한을 풀고, 동료애를 확인하는 유일한 숨 쉴 곳이었습니다.

<이숙희 / 과거 청계시장 피복노동자> "계속 일만 하던 저희들에게 노동교실은 배움터였고 놀이터였고, 자신을 키워나가는 장이었습니다."

다큐멘터리는 1977년 9월 9일 평화시장 노동교실 점거 사건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사건이지만, 조합원들이 다치거나 구속돼 고초를 겪었고, 이들에겐 마음 한 구석 응어리로 남았습니다.

자식들에게 숨길 정도로 과거를 되짚는게 힘들지만, 영화에 출연한 이유는 함께 애썼던 친구들을 다시 만나리란 기대감에, 그리고 어딘가에 여전히 위태롭게 놓인 노동자들을 위한 마음 때문입니다.

<이숙희 / 과거 청계시장 피복노동자> "혼자가 아니라 함께여서 가능했고, 지금 (노동 운동) 하시는 분들 어려움 속에서도 함께 가는 방향을 찾는 게 제일 먼저가 아닌가 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름 대신 '7번 시다' '1번 보조'로 불리며 빛나는 청춘을 묻어야 했던 이들.

영화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세 사람의 이름을 하나하나 정성스럽게 불러냅니다.

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 (bak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