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2030년 폐배터리 40만개…시장 커지는데 대응은?

경제

연합뉴스TV 2030년 폐배터리 40만개…시장 커지는데 대응은?
  • 송고시간 2021-06-13 09:20:54
2030년 폐배터리 40만개…시장 커지는데 대응은?

[앵커]

전기차가 빠르게 늘면서 2030년이 되면 폐배터리가 국내에서만 40만 개가 배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재활용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도 진출을 선언하고 있는데, 법규 마련 등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배삼진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에서 가장 큰 폐배터리 창고.

8m 높이의 거치대에는 폐배터리가 층층이 쌓여 있습니다.

현재 전국 폐배터리 창고 3곳에 보관 중인 배터리는 580여 개로,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2030년에는 40만 개 이상이 쌓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손동훈 / 폐배터리업체 부장> "전기차는 10년 정도 운행하게 되면 효율이 70% 아래로 떨어지면서 폐기 절차를 밟게 되는데, 자원 가치도 있지만, 위험성도 있어서 어떻게 재활용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폐배터리는 에너지저장장치, ESS나 휴대용 배터리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리튬과 니켈, 망간, 코발트 등 희귀 금속은 추출해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은 2030년 20조에서 2050년 600조 원대로 커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의 경우 2018년부터 전국적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에 나섰고, 독일 폴크스바겐과 BMW는 ESS 생산라인 구축 등 재활용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아직 걸음마 단계인데, 포스코는 올해 폐전지 스크랩을 가공한 블랙 파우더를 연간 1만톤 규모로 처리할 수 있는 생산라인을 만들고, 두산도 화학제를 쓰지 않고 회수할 수 있는 기술 실증에 들어갑니다.

LG 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현대차 등도 폐배터리서 양극재 추출이나 ESS 활용 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호근 /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법을 바꿔서 전기차 배터리를 개인이 관리하게 됐는데, 환경오염에 대한 염려 때문이라도 대기업과 정부 기관이 협력해서 개인 위탁이나 활용방안을 찾는 게 중요하다."

다만 폐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는 안정성 평가 기준 등 법 규정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어 정책적 뒷받침도 서둘러야 할 과제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