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네티즌을 누X꾼이라 폄훼하는 YTN...
  • 이윤 *
  • 2023-01-12 20:01:03
  • 48773
누X꾼이란 말은 잘못된 용어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방송사 측에 수십차례 누X꾼 사용의 부당함을 논리적으로 지적했는데 아직까지 YTN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네요. ㅡ_ㅡ YTN은 국민의 방송 맞습니까? 이 정도면 국민(네티즌)을 우습게 아는 방송 아닙니까? 좋은 말 할 때 이 용어 쓰지 마십시요. 제가 왜 이 용어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는지 아래글을 잘 읽어보시고 제 사이트에도 오셔서 관련글을 한번 읽어보십시요. 언어는 편리하게 이용하라고 생긴 것이지 특정한 대상을 왜곡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 아닙니다. 스스로 무덤을 파는 방송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http://www.blrun.net/
http://bit.ly/1pTm8YA
-----------------------------------------------------


────-'네티즌' 말살어 정책 '누X꾼'


요사이 인터넷 뉴스 업계에서는 새로운 신조어가 생겨났다. TV 뉴스에도 이 얘기가 여러번 나왔다. 다름아닌 '누리꾼'... 장사꾼도 아니고 싸움꾼도 아닌 '누X꾼'. 다분히 저속하고 정략적인 의도가 깔려있는 느낌이다. 국립국어연구원이란 컴맹단체가 선정한 신조어라니 알만한 탄생배경(?)을 가진 단어이기도 하다.


말은 어떤 객체의 기호와 추상성을 대변하고 있어서 한번 형성된 이미지가 특정한 형태로 굳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머리속에서 자연적으로 변화되게끔 되어 있는데 이번 국어연구원의 '누X꾼' 제정은 의도적으로 네티즌들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매장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더욱이나 문제는 인터넷 뉴스에서 활동하는 기자들이 이 단어를 요사이 부쩍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네티즌들 중에는 저열하고 난폭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전체의 네티즌들을 "꾼" 으로 매도하는 것은 정말로 비열한 짓입니다. 더욱 충격적인 일은 우리나라 기자연합회가 이 "네티즌" 이란 용어를 "누X꾼" 으로 쓰자며 천인공노할 시대역행적 "합의" 를 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제가 직접 추궁한 기자에게 확인한 사실입니다.


이것은 지금까지 15년 가까이 정치개혁을 이뤄온 IT의 정론가들을 비하하고 매도하는 행위입니다. 지금까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쌓아온 그들의 공로를 잘 알면서도 자기 아들에게도 붙이지 못할 '누X꾼' 이란 용어를 만들었다는 것은 정말 우리나라 언론계와 국어학계가 심각하게 타락했다는 사실을 의심치 않게 합니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IT열풍(이런 반네티즌 세력의 저항으로 지금은 잠잠해졌지만)의 신조류에 찬물을 끼얹는 행동을 취하해 주길 당부드립니다. 그것이 정략적 의도든 언어학적 의도든 상관없이 말입니다.



────-국민은 "누X꾼" 이 아닙니다.


국민을 '누X꾼' 이라 부르는 언론들은 그 기사를 쓴 '기자' 끝에 '꾼' 을 붙여 '기자꾼' 이라고 명명해야 합니다. 아님 '알림꾼' 이라 명명하든지...네티즌들 중엔 대통령도 있고 법조인도 있고 글솜씨가 뛰어난 논객도 많고 그외 일반적인 국민들도 대다수 있습니다. 이를 한꺼번에 싸잡아 '꾼' 으로 매도하는 것은 군중들 스스로의 가치를 폄하하는 행위입니다. 그럼 대통령도 '나라꾼', 판사도 '가름꾼' 이라 불러야 할 것입니다. 이런 류의 기사는 절대로 인터넷 매체에 올라와선 안됩니다.


전 '누X꾼' 이란 용어가 탄생할 때부터 잘못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데 누누이 주장했지만 언어는 필요이상으로 의미를 격하시키거나 의도적으로 그 의미를 훼손시켜선 안됩니다. '네티즌' 이란 용어의 의미가 자연적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리 각인되게끔 해야 하는데 이건 의도적으로 그 어감을 왜곡시키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책략적 의도가 깔려 있다고 의심받는 것입니다.


'네티즌' 이 비록 외래어이긴 하지만 민주적이고 대도시의 커뮤니티같은 냄새가 나는, 나름대로의 함의성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말 바꾸기도 좋지만 전부다 다 우리말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용어를 억지로 변용하려 한다면 스스로의 열등감이 빚어낸 자기비하밖에 되질 않는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도 '누X꾼' 이란 말의 탄생배경은 들었지만 언어사대주의라서가 아니라 '네티즌' 이 좀더 세계적이고 우리나라 인터넷인프라에서 적합한 용어로서 이미 자리잡은것 아닙니까?


그래서 전 국민을 '누X꾼' 이라 부르는 언론들이 정말 싫습니다. 국민을 '누X꾼' 이라 부르는 자가 있다면 저같이 실명을 떳떳하게 밝히고 그렇게 스스로를 불러 주십시요.


<추가>
국민을 누X꾼이라고 불러야 한다면 그럼 국어연구원도 '한글쟁이들' 이 모인 '글누리집' 이라 불러야 할 것입니다. 어떻게 자기 아들에게도 못붙일 이름인 '꾼' 이란 용어를 민주적 시대인 국민들에게 감히 붙일 수 있는지 어이가 없을 따름입니다. 이런 책략적 시도가 횡행되는 미디어 정책에 전 동참하지 않으렵니다. 이것이 '네티즌권력' 을 따돌리려는 어떤 불순한 의도가 깔려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미래에 크나큰 댓가를 치르게 될 것임을 분명히 경고하는 바입니다. 여기에 대해 국어연구원에 직접 전화를 했더니 할말이 없는지 나중에는 결국 전화를 일방적으로 끊어버리더군요. 한마디로 어이가 없습니다.
ㅡ_ㅡ


<댓글>
여러분도 다 아시겠지만 netizen은 net(인터넷)과 citizen(시민)의 합성어 입니다. 근데 우리나라에서는 칼럼과 블로그라는 외래어가 우리말로 순화돼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네티즌" 이란 용어만 유독 "누X꾼" 이란 말도 안되는 용어의 공격으로 그 의미가 격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차라리 netizen이란 어원을 살려 "누리민" 이나 "누리인" 이란 말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의미를 풀이하자면 "인터넷"을 의미하는 "누리" 와 "국민" 이 합쳐져서 "누리국민" 이란 의미도 내포하고 있죠. 제가 생각하기엔 이것이 괜찮을것 같은데...


"누리민" 이 이상하면 그냥 안쓰면 됩니다. "칼럼" 이나 "블로그" 등과 같이 멀쩡한 "네티즌" 이란 외래어가 있는데 굳이 우리말로 그 의미를 격하시켜 사용할 필요가 있나요? 그러니까 자꾸 정략적 의도가 깔려있다고 의심받는 것입니다.


지금 쓰고 있는 이 말을 억지로 대체시키려 하기 때문에 제가 싫어하는거죠. 다시한번 말하지만 칼럼이나 블로그, UCC란 말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유독 네티즌만 우리말로 바꿔 어감을 왜곡시키고 있습니다. 저는 그게 화난다는 겁니다. 이 문제는 저만 해당이 되는게 아니라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모든 네티즌들의 명예와도 관련된 사항입니다. 그리고 명예가 뭐 중요한건 아니지만 더욱 화나게 하는건 그들의 정략적 의도가 괘씸하다는 겁니다. "네티즌" 이란 이름의 개인미디어를 "꾼" 으로 평가절하시키는 거죠. 그래서 예민한 문제인 겁니다.


이것은 기존 언론(방송/신문/인터넷미디어)과 정부미디어(KTV/국정브리핑/청와대브리핑 같은), 그리고 네티즌들로 대변되는 개인미디어 이렇게 3대축의 역학관계로 풀이해야 합니다. 즉 기존 언론과 정부미디어가 네티즌들이 생산하는 개인미디어를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낸 합작품이란 얘기죠.


<댓글1>
여러분 왜 그들이 멀쩡한 "네티즌" 이란 용어를 놔두고 "누X꾼" 이란 말을 만들었을까 그거 생각해 보셨습니까? 도대체 왜? "칼럼" 이나 "블로그" "UCC" 는 그대로 외래어로 부르면서 너무나도 우리말로 순화돼 버린 네티즌을 "꾼" 이란 말로 폄훼하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이건 위(?-누굴까요)에서 누가 국어문화연구원에 "네티즌" 을 다른 "말" 로 순화시키라고 지시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시나리♬니다. 설령 누가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이건 "네티즌" 세력을 반대하는 기득권이 만들어낸 지극히 전략적인 용어란 겁니다. 네티즌(인터넷에서 활동하는 모든 국민)이란 새로운 시대의 권력(정보화 시대의 권력이죠)을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몇개의 용어로 압축한 다음 그중에 골라 멋대로 부르게 된 것이죠.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댓글2>
이것은 전략적으로 급조되어 언론에 퍼진 단어란 차원을 넘어 정체성/이념의 문제입니다. 인터넷 시대의 국민을 "꾼" 이라 불러서는 안된다는 것이죠. 국민들더러 네티즌 놔두고 "누X꾼" 이라고 부른다면 누가 좋아하겠습니까? 일부가 말하는 좋은 의미의 단어 말고도 싸움꾼, 정치꾼, 구경꾼, 노름꾼, 도박꾼, 사기꾼, 장사꾼, 난봉꾼 같은 부정적인 단어도 많습니다.
ㅡ_ㅡ 이게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이끌어 냄으로써 언어의 기호성을 왜곡하는 '개념' 의 폄훼입니다. 언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언어를 순화(예:공약의 순화인 메니페스토, 강간의 순화인 성폭행, 시청료의 순화인 수신료 등) 하는 행위의 반대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예에서 들었듯이 이렇게 기성언론은 목적에 따라 외래어로도 순화를 하면서도 이렇게 누X꾼 같이 한글로 써야 한다며 역순화(나쁜 어감의 말로 순화)도 서슴지 않는 믿지 못할 집단입니다.


<마무리 말>
이렇게 국민인 "네티즌" 을 누리꾼이라 부르는 기자들 여러분을 국민들이 "알림꾼" 이라고 전략적으로 부르기로 작정한다면 당신네들은 기분 좋겠습니까? 이건 입장을 바꿔 생각해봐도 판단이 되는 분명한 논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