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산업의 수요 둔화가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까지는 낸드 가격과 매출이 지속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다만 감산 효과와 가격 안정화가 나타나는 하반기에는 점진적인 시장 회복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자료화면]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낸드 플래시(이하 낸드)는 평균판매단가(ASP)가 전 분기 대비 4% 하락, 전체 비트(bit) 출하량은 2% 감소했습니다.
이에 제조업체들의 낸드 매출은 전 분기보다 6.2% 줄어든 165억2천만 달러(약 24조원)로 집계됐습니다.
트렌드포스는 "PC 및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지속된 재고 정리가 공급망 조정으로 이어지면서 4분기 낸드 시장이 하방 압력에 직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업황 둔화의 직격탄을 맞은 상위 5개 메모리 업체 모두 낸드 부문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트렌드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가전제품 수요 약세 영향으로 4분기 매출은 전 분기보다 9.7% 감소한 56억 달러였습니다.
낸드 시장 점유율은 33.9%로 지난 3분기(35.2%)와 비교하면 1.3%포인트 줄었습니다.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는 4분기 33억9,1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뒀는데, 이는 전 분기와 비교해 6.6% 줄어든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점유율은 0.1%포인트 감소한 20.5%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일본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은 지난 4분기 매출 감소 폭이 각각 0.2%, 0.4%에 그치며 26억5,700만 달러, 18억7,600만 달러의 매출을 내면서 각각 점유율 3위와 5위였습니다.
미국 마이크론의 지난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9.3% 감소한 22억7,500만 달러로 점유율은 4위에 머물렀습니다.
계절적 비수기인 1분기에는 최종 고객들의 재고 재입고 둔화와 주문량, 계약 가격 모두 급격히 하락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업계의 낸드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최대 20% 감소할 수 있다는 게 트렌드포스의 분석입니다.
하지만 트렌드포스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업체들의 감산 노력에 힘입어 낸드 가격이 정상화하고 시장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트렌드포스는 "앞으로 삼성은 기업용 SSD 개발에 집중하고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계획을 조정할 계획"이라며 "SK하이닉스도 수요 변동에 따라 생산량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렌드포스 #낸드 #매출 #하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다만 감산 효과와 가격 안정화가 나타나는 하반기에는 점진적인 시장 회복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낸드 플래시(이하 낸드)는 평균판매단가(ASP)가 전 분기 대비 4% 하락, 전체 비트(bit) 출하량은 2% 감소했습니다.
이에 제조업체들의 낸드 매출은 전 분기보다 6.2% 줄어든 165억2천만 달러(약 24조원)로 집계됐습니다.
트렌드포스는 "PC 및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지속된 재고 정리가 공급망 조정으로 이어지면서 4분기 낸드 시장이 하방 압력에 직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업황 둔화의 직격탄을 맞은 상위 5개 메모리 업체 모두 낸드 부문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가전제품 수요 약세 영향으로 4분기 매출은 전 분기보다 9.7% 감소한 56억 달러였습니다.
낸드 시장 점유율은 33.9%로 지난 3분기(35.2%)와 비교하면 1.3%포인트 줄었습니다.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는 4분기 33억9,1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뒀는데, 이는 전 분기와 비교해 6.6% 줄어든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점유율은 0.1%포인트 감소한 20.5%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일본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은 지난 4분기 매출 감소 폭이 각각 0.2%, 0.4%에 그치며 26억5,700만 달러, 18억7,600만 달러의 매출을 내면서 각각 점유율 3위와 5위였습니다.
미국 마이크론의 지난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9.3% 감소한 22억7,500만 달러로 점유율은 4위에 머물렀습니다.
계절적 비수기인 1분기에는 최종 고객들의 재고 재입고 둔화와 주문량, 계약 가격 모두 급격히 하락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업계의 낸드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최대 20% 감소할 수 있다는 게 트렌드포스의 분석입니다.
하지만 트렌드포스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업체들의 감산 노력에 힘입어 낸드 가격이 정상화하고 시장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트렌드포스는 "앞으로 삼성은 기업용 SSD 개발에 집중하고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계획을 조정할 계획"이라며 "SK하이닉스도 수요 변동에 따라 생산량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렌드포스 #낸드 #매출 #하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