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대검찰청 소속 검사가 '12ㆍ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군 방첩사령부 간부와 통화하고 선관위로 출동했다는 내용의 제보를 공개하고 "검찰의 계엄 개입 의혹에 대해 수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민주당 '윤석열내란진상조사단'은 오늘(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과 국정원이 12ㆍ3 내란에 직접 개입했음을 나타내는 자료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단은 "(지난해) 12월 4일 0시 37분쯤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소속 A 선임과장은 방첩사의 B 대령에게 전화를 걸고 약 1분 22초 정도 통화했다"며 "이후 0시 53분쯤 B 대령은 국정원 과학대응처 C 처장과 약 2분 2초간 통화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대검 선임과장, 방첩사 대령, 국정원 과학대응처장 간 한밤중 통화가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사단은 "이에 더해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소속 고위급 검사 2명이 과천 선관위로 출동했다는 제보까지 입수했다. 그중 한 명이 방첩사 대령과 통화한 대검 과학수사부 A 선임과장"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A 선임과장은 디지털 포렌식, 거짓말 탐지기, DNA분석, 사이버 범죄 등을 수사하는 부장검사급 고위 검사이고 국정원 C 처장은 국가안보정보조사국 소속 고위공무원으로 사이버 전문가로 알려졌다"고 덧붙였습니다.
조사단은 "제보 내용이 사실이라면 고위 검사가 방첩사와 통화 뒤 선관위에 출동한 것으로, 검찰의 내란 개입이 드러난 셈"이라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다만 조사단은 실제로 당시 출동한 검사 2명이 선관위에 도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대검은 언론 공지를 통해 즉각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대검은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방첩사 등 다른 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지원요청을 받은 사실이 없고 다른 기관을 지원한 사실도 없음을 재차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과장은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비상소집으로 대검에 출근해 사무실에서 대기하던 중 평소 친분이 있는 방첩사 대령이 걱정돼 사적으로 먼저 전화를 해 어떤 상황인지와 함께 안부를 물었고, 상황이 종료돼 귀가한 후 다시 전화로 건강을 잘 챙기라고 당부했을 뿐"이라며 "방첩사로부터 지원을 요청받거나 선관위에 출동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빈(jyb2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