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가 주요 선진국보다 빠른 데다 역성장 빈도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0년간(1994~2024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6%p(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는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큰 하락 폭입니다.

2위인 칠레는 5%p대로 나타났고, 일본, 영국, 오스트리아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숙할수록 잠재성장률은 낮아진다는 것으로 감안해도 한국의 하락 속도는 미국, 영국, 호주 등과 비교해 월등히 빠르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입니다.

한은은 "이들 국가와 한국의 가장 큰 차이는 ‘생산가능인구’에 있다”며 “영국과 호주는 이 인구가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지만, 한국은 빠르게 줄고 있어 성장잠재력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업 투자환경 개선이나 혁신기업 육성을 통한 생산성 향상, 출산율 제고, 외국인력 활용 등을 통해 생산가능인구 감소 충격을 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같은 날 공개한 ‘최근 역성장 빈도 증가’ 보고서에서는 한국 경제의 분기별 역성장 발생 빈도가 최근 들어 뚜렷하게 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2010년대에는 2017년 4분기 한 차례를 제외하고 역성장이 거의 없었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다섯 차례 역성장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바탕으로 정규분포 가정 아래 역성장 발생 확률을 산출한 결과 2014년 평균 4.6%에 불과하던 역성장 확률은 2024년 약 3배인 13.8%로 높아졌습니다.

이에 대해 한은은 "경기적 요인과 함께 국내 성장잠재력 저하, 대외충격에 대한 취약성 등 구조적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잠재성장률 #역성장 #한국은행 #국제협력개발기구 #생산가능인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