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린 자녀들 둔 부모들이라면 내 자녀가 또래 친구보다 작으면 걱정되시죠.
하지만 자녀의 성장이 남보다 빠르다고 마냥 좋아하실 일은 아닙니다.
과하면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왜 그런지 조성흠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부모 입장에서 자녀의 성장은 최대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특히, 자녀가 또래보다 키가 작다고 느껴지면 걱정이 앞섭니다.
<김우재 / 서울 성북구 석관동> "최근엔 조금 성장이 더딘 편이 있어서 그런 부분이 걱정돼서, 관련 교수님도 만나뵙고, 상담도 하고, 어떤 걸 먹으면 좋을지…"
그렇다면 또래보다 크면 좋기만 할까?
자녀가 너무 빠르게 성장하면 '성조숙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성조숙증이란 2차 성징이 나이에 비해 빨리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만 8살 이전에 가슴에 몽우리가 잡히는 여자 어린이나 만 9살 이전에 고환 크기가 특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는 남자 어린이의 경우는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렇게 2차 성징이 빠르면 지금은 남들보다 키가 크지만 나중엔 오히려 작은 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정혜운 /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지금 보기엔 굉장히 커 보일 수 있지만 나중에 성인 키에 대한 예후는 오히려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등학생이 돼서야 나는 사랑니가 일찍 나는 것도 좋은 일은 아닙니다.
<오주영 / 경희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어릴 때일수록 구강 관리가 어렵고 충치나 잇몸 염증이 유발될 수 있고요. 또 통증이나 불편감으로 학업에 스트레스가 생길 수 있어서…"
발치가 어렵다면 치간칫솔 사용법 등 사랑니를 제대로 관리하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 (makehm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