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노인인권기획] "집에서 임종 맞고 싶지만"…여건은 아직

사회

연합뉴스TV [노인인권기획] "집에서 임종 맞고 싶지만"…여건은 아직
  • 송고시간 2019-09-15 12:25:51
[노인인권기획] "집에서 임종 맞고 싶지만"…여건은 아직

[앵커]

자신의 임종 모습을 한번 상상해보시죠.

집에서 가족들과 인사를 나누며 눈감는 모습 떠올리는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실제로는 병원에서 숨을 거두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내가 원하는 곳에서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려 해도 여건은 그렇지 못한 게 현실인데요.

이어서 이준흠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네, 한 2시 전후 될 것 같아요. 이따 뵙겠습니다."

이상희 수녀 간호사가 약속을 잡고 어디론가 떠날 준비를 합니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팀을 꾸려 도착한 곳은 암 환자인 이강택 씨의 집입니다.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병원에서 지내던 이씨는 입원 치료를 포기하고 집으로 가겠다고 결정했습니다.

남은 생은 가족들과 보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이강택 / 전립선암 환자> "집에 와서 가족들의 도움을 받으니까 병원에 있을 때보다 마음의 부담도 덜하고 편한 거죠."

병원에서 살다시피 하다 없던 병까지 얻은 가족들도 한시름을 덜었습니다.

<구경난 / 보호자> "꼬박꼬박 오셔서 검사를 하고 맞춰서 약을 다 바꾸고 해주시니까 우리는 그냥 고마울 뿐이고…"

실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6명은 이 씨처럼 삶의 마지막을 집에서 맞이하고 싶어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바람과 달리 노인 대부분은 병원에서 숨을 거두고 있습니다.

아프면 어떻게 하나 불안감이 크고, 집에서 임종을 맞는 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은 탓입니다.

<서민석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집에 가면 내가 아프면 어떻게 하나 증상 조절이 잘 안 되면 어떻게 하나 고민하는 경우도 많고, 누가 어떻게 돌봐주나 이런 고민때문에 집에 못 가시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생애 말기를 돌보는 곳 역시 턱없이 부족합니다.

정부는 2016년부터 3년 동안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을 벌였습니다.

사업 실적을 정보공개 청구해 받아보니 의사 방문 횟수는 3,400건, 전국에서 하루 3~4건에 불과합니다.

사업에 참여해놓고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2023년까지 참여 기관을 지금의 두 배인 60곳으로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수가가 낮아 병원들이 제대로 따라줄지는 미지수입니다.

죽음에 대한 또 다른 준비도 묫자리나 상조회 등 사후에 집중돼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흠입니다. (humi@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