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회에서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야당이 마 후보자 임명을 국정협의회와 연계해 압박 수위를 높이자, 여당은 국정협의체를 이렇게 걷어차도 되는 것이느냐고 맞받았는데요, 국회로 가봅니다.
박현우 기자.
[기자]
네, 민주당은 마은혁 후보자의 조속한 임명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특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한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오전 라디오에 나와 "지금 최 권한대행은 '내란 대행'으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고 쏘아붙였습니다.
여야정이 참여하는 국정 협의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헌정질서의 회복인데, 최 권한대행이 헌정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건데요,
박 수석부대표는 '마 후보자가 임명될 때까지 협의회를 보이콧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일단은 그렇게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마 후보자 임명과 국정협의회 참석을 연계해선 안 된다며, 협의회 중단에 대한 사과와 해명을 민주당에 요구했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추경과 연금 개혁, 반도체법, 상속 개정안 등 현안이 산적해 있는 만큼, 혼란을 더 이상 키워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는데요,
이어, 대통령이 직무 정지 중인 상황인 만큼, 정치적 혼란을 줄이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면서, 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지 말고, 국정협의체 복원의 길로 돌아올 것을 민주당에 촉구했습니다.
마은혁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는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의 단식 농성도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지도부는 오늘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방하죠.
휴일 양당 지도부 움직임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대구를 찾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권영세 비대위' 출범 뒤 박 전 대통령 예방은 처음으로,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신동욱 수석대변인, 강명구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등이 배석합니다.
이번 예방은 '탄핵 반대 여론전' 등으로 지지층을 결집해 나가고 있는 여당 행보의 연장선상으로 해석되는데요,
면담에선 '탄핵정국' 상황과 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한 대화가 오갈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 지도부는 휴일 별다른 입장을 잡지 않고 '숨 고르기' 하는 모습인데요,
이재명 대표는 이번 주 목요일에는 부산을 찾을 예정입니다.
'북극항로 개척' 관련 현장 간담회가 예정돼 있는데,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지역 순회 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민주당은 또, 같은 날 국회에선 '근로소득세 개편'을 핵심으로 하는 토론회도 진행하는 등 민생 행보도 이어갑니다.
한편 어제 76일 만에 공개 행보를 재개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오늘 SNS를 통해 상속세 관련 메시지를 내놓으며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선을 겨냥한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 속에 윤상현 의원은 "조기 대선은 헛된 꿈"이라고 비판하는 등 친윤계의 견제도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현우(hwp@yna.co.kr)
국회에서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야당이 마 후보자 임명을 국정협의회와 연계해 압박 수위를 높이자, 여당은 국정협의체를 이렇게 걷어차도 되는 것이느냐고 맞받았는데요, 국회로 가봅니다.
박현우 기자.
[기자]
네, 민주당은 마은혁 후보자의 조속한 임명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특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한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오전 라디오에 나와 "지금 최 권한대행은 '내란 대행'으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고 쏘아붙였습니다.
여야정이 참여하는 국정 협의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헌정질서의 회복인데, 최 권한대행이 헌정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건데요,
박 수석부대표는 '마 후보자가 임명될 때까지 협의회를 보이콧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일단은 그렇게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마 후보자 임명과 국정협의회 참석을 연계해선 안 된다며, 협의회 중단에 대한 사과와 해명을 민주당에 요구했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추경과 연금 개혁, 반도체법, 상속 개정안 등 현안이 산적해 있는 만큼, 혼란을 더 이상 키워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는데요,
이어, 대통령이 직무 정지 중인 상황인 만큼, 정치적 혼란을 줄이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면서, 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지 말고, 국정협의체 복원의 길로 돌아올 것을 민주당에 촉구했습니다.
마은혁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는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의 단식 농성도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지도부는 오늘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방하죠.
휴일 양당 지도부 움직임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대구를 찾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권영세 비대위' 출범 뒤 박 전 대통령 예방은 처음으로,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신동욱 수석대변인, 강명구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등이 배석합니다.
이번 예방은 '탄핵 반대 여론전' 등으로 지지층을 결집해 나가고 있는 여당 행보의 연장선상으로 해석되는데요,
면담에선 '탄핵정국' 상황과 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한 대화가 오갈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 지도부는 휴일 별다른 입장을 잡지 않고 '숨 고르기' 하는 모습인데요,
이재명 대표는 이번 주 목요일에는 부산을 찾을 예정입니다.
'북극항로 개척' 관련 현장 간담회가 예정돼 있는데,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지역 순회 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민주당은 또, 같은 날 국회에선 '근로소득세 개편'을 핵심으로 하는 토론회도 진행하는 등 민생 행보도 이어갑니다.
한편 어제 76일 만에 공개 행보를 재개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오늘 SNS를 통해 상속세 관련 메시지를 내놓으며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선을 겨냥한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 속에 윤상현 의원은 "조기 대선은 헛된 꿈"이라고 비판하는 등 친윤계의 견제도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현우(hw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