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와 캐나다, 그리고 중국에 예상대로 관세 부과를 시행하자 캐나다가 즉각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멕시코도 보복을 예고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재맞불’을 예고했어요?
<질문 2> 관세전쟁이 본격화 되면서 직간접적으로 우리 기업의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 입장에선 투자와 생산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인데 캐나다와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얼마나 되나요? 피해를 줄이기 위한 생존 셈법도 복잡할 것 같은데요?
<질문 3>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추가 하락도 불가피해 보이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3-1> 코스피는 미국의 관세 부과 강행 우려에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투자심리가 회복될 수 있었던 배경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4>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결국에는 미국으로 다시 부메랑처럼 돌아올 것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 유통 업계는 관세 전쟁 영향 탓에 농산물 등 가격이 수일 내 인상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5> 이런 가운데 대만 TSMC가 1천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앞서 TSMC는 2020년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바도 있는데 투자 규모를 확대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질문 5-1> TSMC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짓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향후 투자를 확대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최적의 출구 전략은 뭐라고 보시나요?
<질문 6> 미국의 또 다른 관세 부과 대상인 중국은 현재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과의 대립이 극에 달하는 상황에서 어떤 정책들을 내놓을지 관심이 컸는데 가장 주목해야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질문 7> 중국이 양회에서 '제2의 딥시크' 육성을 위해 대규모 인공지능 투자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정부가 다운로드를 원천 차단한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는 신규 설치가 지속되고 있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던 건가요? 개인 정보 보안 등에 대한 우려도 여전한데 딥시크가 기세를 이어갈 수 있는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와 캐나다, 그리고 중국에 예상대로 관세 부과를 시행하자 캐나다가 즉각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멕시코도 보복을 예고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재맞불’을 예고했어요?
<질문 2> 관세전쟁이 본격화 되면서 직간접적으로 우리 기업의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 입장에선 투자와 생산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인데 캐나다와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얼마나 되나요? 피해를 줄이기 위한 생존 셈법도 복잡할 것 같은데요?
<질문 3>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추가 하락도 불가피해 보이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3-1> 코스피는 미국의 관세 부과 강행 우려에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투자심리가 회복될 수 있었던 배경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4>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결국에는 미국으로 다시 부메랑처럼 돌아올 것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 유통 업계는 관세 전쟁 영향 탓에 농산물 등 가격이 수일 내 인상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5> 이런 가운데 대만 TSMC가 1천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앞서 TSMC는 2020년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바도 있는데 투자 규모를 확대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질문 5-1> TSMC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짓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향후 투자를 확대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최적의 출구 전략은 뭐라고 보시나요?
<질문 6> 미국의 또 다른 관세 부과 대상인 중국은 현재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과의 대립이 극에 달하는 상황에서 어떤 정책들을 내놓을지 관심이 컸는데 가장 주목해야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질문 7> 중국이 양회에서 '제2의 딥시크' 육성을 위해 대규모 인공지능 투자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정부가 다운로드를 원천 차단한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는 신규 설치가 지속되고 있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던 건가요? 개인 정보 보안 등에 대한 우려도 여전한데 딥시크가 기세를 이어갈 수 있는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