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건강+] 난임

라이프 건강

연합뉴스TV [건강+] 난임
  • 서울아산병원
  • 2022-07-27

이다용 교수 │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제가 주로 하는 역할은 아이를 원하지만 임신이 되지 않는 난임 부부들을 도와서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드리는 역할을 하고 있고

그 외에도 항암치료를 앞두거나 나이의 증가에 따라 가임력 저하가 예상되는 분들에 대해 난자, 정자, 배아 또는 난소조직을 건강한 상태로 동결보존하였다가 향후에 임신을 원하는 시점에 해동을 해 사용을 함으로써 가임력을 보존하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난임과 불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불임과 난임은 그 단어를 뜻 그대로 해석을 해 보면

불임은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난임은 임신이 힘든 경우, 즉 가임력이 떨어진 경우로 볼 수가 있는데요

불임이라는 단어가 가진 부정적인 의미때문에

최근에는 불임이라는 단어보다는 난임이라는 단어를 더 흔히 사용하는 추세예요

특히나 과거에는 임신이 힘들었던 부부들이라 할지라도 최근에는 난임 진단 기술이나 치료가 발달하면서 그런 부부들이 임신이 가능한 경우가 상당히 증가했거든요

그래서 최근에는 불임보다는 난임이 더 적절한 용어라고 생각을 합니다


[난임의 주요 원인은 여성에게 더 많나요?]

실제로 난임 부부들을 분석한 통계를 살펴보면요

남성요인이 40%, 여성 요인이 40%,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20%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남성과 여성의 난임원인이 비슷한 부분을 차지한다라고 확인할 수가 있고요

그건 우리나라만 그런 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입니다


[남성의 난임 요인에는 어떤 경우가 있나요?]

남성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정자라고 할 수 있겠죠

정자를 볼 때 저희는 수, 운동성, 모양을 파악하게 되고, 이는 정액검사를 통해서 알 수가 있거든요

최근 40년 간의 통계를 살펴보면 환경적인 요인, 즉 환경호르몬 같은 문제나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서 정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해요

그래서 남성요인이 없는지 검사를 하는 게 꼭 필요하고, 정자가 잘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배출과정에서도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남편분도 꼭 오셔서 같이 상담을 하시는 걸 권유드립니다


[여성의 난임 요인에는 어떤 경우가 있나요?]

여성 원인은 남성 요인보다 좀 더 복잡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배란기능장애, 난소기능저하, 난관문제, 자궁의 문제, 그 외에도 자궁내막증 같은 문제들이 난임을 유발할 수 있어요


[배란기능장애의 대표적인 원인은 어떤 게 있나요?]

배란기능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데, 그 중에 최근에 가장 흔한 것 중에 하나는 다낭난소증후군이에요

이거는 들어보신 분도 많을 것 같은데요 그 이름에서 내포하듯이 초음파를 보게 되면 이런 분들은 배란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난포들이 자라지 못하고 조그만한 것들이 여러 개 모여 있어요

그래서 다낭난소로 보인다 이래서 다낭난소증후군이라고 부르고 있고요

다낭난소증후군은 타고난 체질, 즉 유전적인 요인과 주변 환경, 그리고 환자의 평소 생활습관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다낭난소증후군이 있는 여성은 배란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무월경이나 월경불순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임신 도 잘 안되기 때문에 가임력이 떨어지는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외에도 과도한 스트레스나 다이어트 또는 야간근무 등도 이런 호르몬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배란 장애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원인이 있는지 잘 파악을 해야 되고, 드시는 약 중에도 이런 월경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약이 있어서 그런 것도 파악을 하고 있습니다


[다낭난소증후군은 근원만 파악하면 바로 개선이 되나요?]

다낭난소증후군은 질적인 요인도 작용을 하고, 환경이나 생활습관, 이렇게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는 일종의 체질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치료의 개념보다는 평생 관리하는 개념으로 접근하셔야 되고요

이런 여성분들은 배란이 잘 안 된다 뿐이지 난소기능 자체는 좋은 분들이고 배란 유도를 하게 되면 대부분 임신이 가능하십니다


[난소기능저하는 왜 일어나는 건가요?]

난소기능저하 그 원인이 뭘까 굉장히 궁금하실텐데요

실제로 난소기능 저하는 태어나면서 꾸준히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 중에 하나에요

여성분들은 태어나면서 약 200만 개의 난포를 가지고 태어나는데요, 초경 할 나이가 되면 이미 이러한 난포가 40만 개~50만 개로 감소가 되어 있거든요 

이렇게 난소기능 저하는 나이의 증가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임신 가능성은 나이와 상관관계가 있나요?]

실제로도 임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나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예요

실제로 진료를 하다 보면 30대 중후반에 임신 시도를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30대 중후반 이후로는 난포의 갯수도 감소할 뿐만 아니라 난자의 염색체 이상도 증가하게 되어 이렇게 염색체에 이상이 증가하게 되면 수정도 잘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아를 이식한다 하더라도 쉽게 유산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게다가 항암치료를 앞두고 있거나, 아니면 난소 수술을 앞두고 있는 분들은 그러한 손상으로 인해서도 난포 수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치료를 앞두고 계신 분들은 본인의 가임력 저하에 대해서 산부인과 의사와 미리 상담하는 것이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실제 나이와 난소 나이에 차이가 있나요?]

저희 입장에서 되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난소의 기능이 어떠한가를 판단하는 기준인데요

난소의 기능은 크게 말해서 배란을 잘하느냐 호르몬을 잘 만드느냐에요

그런데 이러한 기능은 모두 난포가 담당하고 있거든요

따라서 난포가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렇게 해서 남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을 파악을 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AMH라고 하는 호르몬입니다

이러한 호르몬 수치를 판단함으로써 그 나이 때 평균 수치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할 수가 있고요 나이대의 평균 수치보다 낮게 되면 난소나이가 많다 라고도 얘기를 할 수가 있는 거죠

즉 난소 기능이 나이 평균에 비해서 감소되어 있다 그렇게 판단이 가능합니다


[난관이 무엇인가요?]

난관은 흔히 나팔관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수정, 즉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공간이 바로 나팔관이거든요

따라서 이러한 난관이상이 있으면 당연히 임신이 힘들겠죠

예전에 골반염을 알았던 경우나 자궁내막증 같은 질환으로 난소나 나팔관 쪽에 수술을 받는 경우에는 이러한 난관이 좁아지거나 심지어 아예 막히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거 이력이 있는 분들은 난임 전문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나요?]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에서 굉장히 흔한 난소질환 중에 하나거든요

자궁내막증 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에 있어야 될 조직이 골반 안으로 이동하면서 월경을 꾸준히 일으킨다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복강 안에서 지속적인 염증이나 출혈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출혈 및 염증 반응을 통해서 주변에 유착을 일으키거든요

그래서 난관유착을 유발할 수도 있고요 난소의 기능 저하나 착상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자궁내막증이 가임력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용종 같은 것도 난임과 관련이 있나요?]

맞아요,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절반 이상에서 관찰될 정도로 굉장히 흔한 자궁질환이거든요

그리고 자궁내막용종도 가임기 여성에서 굉장히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에요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렇게 흔한 것과 달리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용종이 임신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그래서 이러한 것들이 관찰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로 제거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근종이 아주 크거나 아니면 위치가 안 좋거나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그로 인해서 착상을 방해하거나 임신이 유지되는 걸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슬쩍 절제를 미리 고려하기도 합니다


[난임이라고 의심할 만한 증상은 어떤 게 있나요?]

난임 부부들이 언제 병원에 방문해야 되는지 굉장히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난임의 정확한 기준은 1년 이상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로 정의를 해요

하지만 우리가 앞에서 열심히 살펴봤듯이 여러 가지 원인들로 난임이 유발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난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들은 굳이 1년까지 기다리실 필요가 없고 약 6개월 정도 기다려도 임신이 안 되면 저같은 난임 관련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건강한 사회를 만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