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김대호의 경제읽기] 9월 물가상승률 5.6%…한은 "당분간 5~6%대 고물가"

경제

연합뉴스TV [김대호의 경제읽기] 9월 물가상승률 5.6%…한은 "당분간 5~6%대 고물가"
  • 송고시간 2022-10-05 14:04:05
[김대호의 경제읽기] 9월 물가상승률 5.6%…한은 "당분간 5~6%대 고물가"

<출연: 김대호 경제학 박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5.6%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고환율과 높은 외식 물가, 공공요금 인상 등이 물가를 밀어 올릴 수 있는 변수로 남아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인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5.6%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물가 상승 폭이 줄어들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이었나요?

<질문 2> 채소 가격이 급등하고 외식 물가가 30여 년 만에 최고로 치솟는 등 물가 둔화를 체감하기는 사실 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달부터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분도 반영이 되는 만큼 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높지만 정부는 '10월 정점론'을 유지하는 모습인데 근거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3> 이번 물가상승률 수치가 다음 주로 예정된 한은 금통위의 금리 정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그간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물가 안정'을 강조했었는데 빅 스텝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4> 지난달 말 기준 시중 5대 은행의 대기업 대출 잔액이 1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회사채 발행 환경이 나빠지자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대기업이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혹시 기업 대출이 부실의 뇌관이 되는건 아닐까요?

<질문 5> 반대로 시중자금은 은행 예·적금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무거워지는 이자 부담에 가계 빚을 갚으려는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가계대출 잔액은 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데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

<질문 6>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슈퍼컴퓨터와 인공지능 등에 이용되는 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통제하는 강력한 제재 조치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국내 기업의 수출에도 영향이 우려된다던데 정확히 무슨 조치이기에 그런건가요?

<질문 7> 그렇지 않아도 고환율로 시름하고 있는 세계 경제에 미국과 중국의 기술전쟁이 또 하나의 악재가 되진 않을지 걱정되는데 파급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인플레이션 감축법 사례를 고려했을 때 정부가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