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비혼 축하금 지급 기업 늘어…청년층 의견 엇갈려

경제

연합뉴스TV 비혼 축하금 지급 기업 늘어…청년층 의견 엇갈려
  • 송고시간 2024-05-24 21:28:39
비혼 축하금 지급 기업 늘어…청년층 의견 엇갈려

[앵커]

결혼에 대한 인식이 예전과 달라지면서, 결혼을 하지 않는 인구가 늘고 있죠.

이에 '비혼'을 선언한 직원에게 일명 '비혼 축하금'을 주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를 두고 여론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문형민 기자가 청년들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기자]

'결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없다', '나중에도 결혼을 하고 싶지 않다'

해당 질문에 만 25∼49세 미혼남녀 2천여명 중 39.1%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결국 결혼을 하지 않는, 이른바 '비혼' 인구가 늘어나는 건 불 보듯 뻔한 상황.

이에 따라 기업들이 결혼하는 임직원에게 결혼 휴가나 축의금을 주는 것처럼,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한 직원에게도 '비혼 축하금'과 같은 사내 복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SK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금융사기업은 일찍이 '비혼금'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 대열에 금융공공기관인 IBK기업은행 노조도 가세해 비혼금을 사측에 요구할 계획입니다.

"(비혼 직원들이)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없으니까. (비혼) 축하금을 신설해달라는 요구가 노동조합에 많이 들어왔고."

사기업부터 공공기관까지 비혼 복지 제도가 번지는 가운데, 청년층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애초에 결혼 유무로 회사 복지 수준이 달라지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의 찬성론과….

<고수연 / 인천광역시> "결혼을 하는 사람들은 (혜택을) 받고, 결혼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걸 못 받는다는 건 조금 그렇지 않나."

<신주애 / 서울 노원구> "'비혼'인 분들은 그런 것(축하금) 받고 자기 삶에 의지가 생길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도…"

반면 저출생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할 기업이 오히려 비혼을 부추길 수 있다는 '반대론'까지….

<송민규·김희재 / 서울 광진구·경기 남양주> "국가적으로 결혼을 장려하는 분위기잖아요. 기업에서도 국가적인 분위기에 따라서 결혼에 대한 복지를 더 챙겨주는 게…"

<박상현 / 경기 군포시> "시대에 역행하는 제도가 아닌가 싶어요. 오히려 비혼을 조장하는 그런 제도를 한다는 게…"

비혼 축하금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비혼 축하금을 지급하기에 앞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 (moonbro@yna.co.kr)

#결혼 #비혼 #비혼축하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