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4년여 만 '한일중 정상회의'…"3국 정상회의 정례화"

정치

연합뉴스TV 4년여 만 '한일중 정상회의'…"3국 정상회의 정례화"
  • 송고시간 2024-05-27 14:08:52
4년여 만 '한일중 정상회의'…"3국 정상회의 정례화"

[앵커]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됐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한자리에 마주 앉았는데요.

3국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상회의 정례화를 비롯한 합의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대통령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죠, 조한대 기자.

[기자]

네, 오늘(27일) 오전 3국 정상회의에 이어 세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이 열렸는데요.

2019년 8차 회의 후 4년 5개월 만에 열린 이번 정상회의에서 3국은 우선 3국 정상회의의 정례적 개최와 3국 협력의 제도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3국 협력의 기반은 세 나라 국민의 이해와 신뢰"라면서 2030년까지 연간 인적 교류 4천만명 달성, 내년부터 2년간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 지정 등 합의사항을 밝혔습니다.

또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 조성, 안전한 공급망 구축과 공중보건 위기 등에도 3국이 함께 대응해나가기로 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인적 교류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사회 그리고 3국과 아세안과의 협력 추진을 강조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해선, "힘에 의한 일방적 현상변경 시도는 용납될 수 없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리창 총리의 경우 경제무역의 연결 심화와 공급망 협력 강화, 한일중 FTA 협상 추진을 거론하며, 첨단분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세 정상은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도 나란히 참석해 동반 성장에 한목소리를 내며 경제인들을 격려했습니다.

[앵커]

안보 협력 부분, 따로 자세히 짚어 보겠습니다. 한반도 문제와 안보 분야에 관해선 세 정상이 어느 정도 수준의 합의에 이르렀나요?

[기자]

네, 이번 정상회의의 초점은 경제 분야 협력에 맞춰졌지만, 안보 현안 역시 관심을 모았습니다.

3국은 기자회견에서 공통적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는데요.

기시다 총리도 이를 재확인하며 일본인 납치 문제에 관해 "즉각적 해결을 위해 양 정상이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고, 양국이 이해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가운데, 한일 정상은 경고성 발언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써, 윤 대통령은 "발사 감행 시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고, 기시다 총리 역시 발사 시도 중단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중국은 역내 평화 증진에 공감하면서도 "예민한 문제와 갈등, 이견을 선처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하며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자"고 밝혔습니다.

리창 총리는 "중국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관련 측은 자제하며 사태가 악화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관련 국가들의 책임도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및 북한과의 역학 관계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대북 문제에 대해 단호한 입장인 한일과는 온도 차가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한편 다음 한일중 정상회의의 의장국은 일본으로, 한중은 순조로운 개최를 적극 지원하는 데에도 공감대를 모았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한일중_정상회의 #윤석열_대통령 #기자회견 #중국 #일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